2024.04.26 (금)

  • 맑음속초17.0℃
  • 맑음10.1℃
  • 맑음철원9.6℃
  • 맑음동두천10.3℃
  • 맑음파주8.2℃
  • 맑음대관령8.0℃
  • 맑음춘천10.7℃
  • 맑음백령도10.3℃
  • 맑음북강릉17.7℃
  • 맑음강릉19.6℃
  • 맑음동해15.9℃
  • 맑음서울12.8℃
  • 맑음인천11.9℃
  • 맑음원주12.7℃
  • 맑음울릉도18.1℃
  • 맑음수원10.1℃
  • 맑음영월9.9℃
  • 구름조금충주10.3℃
  • 구름조금서산8.9℃
  • 구름조금울진17.2℃
  • 구름조금청주13.8℃
  • 구름많음대전12.0℃
  • 구름많음추풍령9.9℃
  • 구름조금안동11.1℃
  • 구름많음상주11.5℃
  • 구름많음포항16.8℃
  • 구름많음군산10.0℃
  • 구름많음대구13.6℃
  • 구름많음전주13.0℃
  • 구름많음울산13.9℃
  • 구름많음창원12.8℃
  • 흐림광주13.5℃
  • 구름많음부산15.1℃
  • 흐림통영12.4℃
  • 구름많음목포12.1℃
  • 흐림여수14.5℃
  • 구름많음흑산도11.6℃
  • 구름많음완도13.1℃
  • 흐림고창9.1℃
  • 구름많음순천10.6℃
  • 구름조금홍성(예)9.7℃
  • 구름많음9.8℃
  • 흐림제주15.2℃
  • 흐림고산13.8℃
  • 흐림성산14.0℃
  • 흐림서귀포15.1℃
  • 흐림진주11.0℃
  • 맑음강화8.9℃
  • 맑음양평11.3℃
  • 맑음이천11.2℃
  • 맑음인제9.8℃
  • 맑음홍천10.4℃
  • 맑음태백8.2℃
  • 맑음정선군8.5℃
  • 맑음제천8.4℃
  • 구름조금보은9.9℃
  • 구름조금천안9.7℃
  • 구름많음보령9.8℃
  • 구름많음부여10.0℃
  • 구름많음금산10.3℃
  • 구름조금11.3℃
  • 흐림부안10.9℃
  • 구름많음임실10.4℃
  • 구름많음정읍10.0℃
  • 구름많음남원12.2℃
  • 구름많음장수9.0℃
  • 구름많음고창군9.6℃
  • 구름많음영광군9.8℃
  • 구름많음김해시13.8℃
  • 구름많음순창군11.5℃
  • 구름많음북창원14.8℃
  • 구름많음양산시13.9℃
  • 흐림보성군12.7℃
  • 구름많음강진군12.4℃
  • 구름많음장흥11.4℃
  • 구름많음해남10.5℃
  • 구름많음고흥12.1℃
  • 구름많음의령군11.3℃
  • 구름많음함양군11.3℃
  • 구름많음광양시13.9℃
  • 구름많음진도군10.4℃
  • 구름조금봉화8.3℃
  • 구름조금영주9.4℃
  • 구름조금문경11.6℃
  • 구름조금청송군8.0℃
  • 구름조금영덕16.7℃
  • 구름조금의성9.4℃
  • 구름많음구미12.6℃
  • 구름많음영천11.1℃
  • 구름많음경주시11.8℃
  • 구름많음거창10.8℃
  • 구름많음합천12.4℃
  • 구름많음밀양13.6℃
  • 구름많음산청12.0℃
  • 흐림거제11.8℃
  • 흐림남해13.0℃
  • 구름많음12.4℃
기상청 제공
등용문, 그리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설/칼럼

등용문(登龍門)은 입신출세의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잉어가 황하 상류 계곡의 매우 물살 빠른 폭포를 거슬러 오르면 용이 된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이다.

《후한서》에 의하면 이응(李膺)에게 인정받는 것을 당시 사람들이 등용문이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차승현.jpg
차승현 작가

 

이응은 모든 기강이 무너져 내리는 후한 말의 혼란 가운데에도 고고한 기풍을 지킨 명사였으니, 그에 힘입어 인지도가 올라가고 신분이 상승하는 효과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대단한 권력을 가지고 인사를 좌지우지했던 것은 아니다.

이응은 환관의 전횡에 맞서 과감한 개혁을 주도하다가 끝내 희생되고 만 인물이다.

높은 지위에 오르는 것이 목적이라면 오히려 당시 권세를 누리던 환관들에게 붙는 편이 나았을 것이다.

등용문은 ‘천하의 모범’이라 칭송되던 엄격한 이응에게 인정받는 것 자체를 영광스럽게 여긴 표현이었다.

등용문으로 당대 최고의 이름을 얻은 이는 곽태(郭泰)였다.

곽태가 낙양 땅을 처음 밟았을 때, 그를 만나 본 이응이 “수많은 선비를 만나 보았지만 이렇게 박학다식하고 점잖으며 섬세한 사람은 처음이다.”라고 하면서 벗으로 삼자 낙양 전체에 곽태의 명성이 진동했다.

곽태가 낙양을 떠날 때 전송하러 황하 강가에 나온 선비들의 수레가 수천 대에 이를 정도였다고 한다.

그 때 이응과 곽태 두 사람이 탄 배를 바라보고 신선 같다고들 칭송한 데에서 ‘이곽선주(李郭仙舟)’라는 성어가 생겼다.

곽태의 두건 한쪽 귀가 비를 맞아 꺾인 것을 본 사람들이 너도나도 두건의 한쪽 귀를 접어서 쓰면서 일대 유행이 되었다고 한다.

그가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추앙되었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응의 인정만으로 곽태의 높은 명망이 오래 유지될 수 있었을까?

용문에 오른 뒤 곽태는 낙양에 안주하지 않고 곳곳을 다니면서 숨은 인재들을 발굴하였다.

백정이나 술장수 등 미천한 직업에 있는 이들까지 포함해서 곽태 덕분에 이름이 알려진 이들이 60명이나 되었다.

여관에 하루를 묵어도 매번 손수 청소를 깨끗이 해놓고 떠날 정도로 그는 작은 일에 충실한 사람이었다.

은거하면서도 인지상정을 저버리지 않았고 정결하면서도 세속과 어울려서, 누구도 그를 부릴 수 없었으며 아무도 그를 해치지 못하였다.

용문에 오른 뒤에 그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시인 이숭인(李崇仁)은 “책 읽으며 옛사람을 생각하니 나의 형편없음 여실히 깨닫네. [讀書懷古人, 殊覺我無狀]”라고 하며 곽태의 드높은 자취를 앙망하는 시를 지었다.

 

위인지학(爲人之學)에 대한 경계가 끊임없이 이어졌다는 사실은 그만큼 예전에도 입신출세를 위해 공부한 이들이 많았음을 반증한다.

하지만 옛사람을 만나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것이 책을 읽는 목적이어야 한다는 당위만큼은 중요하게 여겨 왔다.

칭송만이 아니라 비판도 당연히 필요하다.

다만 칭송이든 비판이든 초점은 역사 속 인물을 만나는 우리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에 있다.

 

오늘 우리는 무엇을 위해 책을 읽고 지식을 쌓고 있는지 돌아보게 한다.

용문에 오르는 법에만 관심이 있을 뿐, 정작 용문에 오른 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서는 배운 적도 고민한 적도 없는 이들이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간다면 실로 끔찍한 일이다.

이응과 곽태가 목도해야 했던 한나라 왕실의 몰락 과정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훨씬 더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실이지만, 그럴수록 다시 살펴야 할 것은 우리 자신이다.

용문에 오르기 전에는 물론이고, 용문에 오른 뒤에야말로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역사 속 인물들을 만날 일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