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선량(選良)

기사입력 2019.11.04 13:25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선량의 사전적인 의미는 ‘한나라 시대에 지방 군수가 관리를 선발하여 조정에 천거했는데, 이때 군수에 의해 선발된 사람’을 가리켜 선량(選良)이라고 했다고 하며, 이때의 선량이란 현량방정(賢良方正)하고 효렴(孝廉)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한다.

    이 말이 조선시대로 내려오면서 과거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을 가리키다가, 현대에 이르러 국회의원을 지칭하는 말이 된 것이다.

    차승현.jpg
    차승현 작가

     

    물론 확대하자면 국회의원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선거를 통하여 천거되는 사람들까지 포함하여 말하기도 한다.

    어쨌든 이전부터 선거법 개정을 두고 여야의 의견조정이 되지 않아 시끄럽게 하더니 요즘 그 일로 다시 한 번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사실 국민들은 지역구 의원의 수가 몇 명이 되고, 비례대표 의원의 수가 몇 명이 되어야 하는 것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들만의 리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들은 그들만의 리그에 항상 국민을 앞세우려고 한다.

    그것이 국민을 더 화나게 만드는 일이라는 것을 모르고 말이다.

     

    그렇게 치열하게 싸우고 있는 그들만의 리그를 바라보고 있다가 별안간 생각이 떠올랐다.

    지역구인 경우에는 국민들이 선거를 통해 그 지역의 발전을 위해 선거를 통해 뽑은 그 지역의 대표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른 바 나름대로의 선량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정당의 추천으로 천거한 비례대표의 경우에는 어느 지역을 대표하고 있는 것인지 아리송하다.

    우리나라를 위해서?

    아니면 천거한 그 정당을 위해서?

    그러니까 그들의 행동과 말에는 엄밀히 말해서 국민의 이름을 팔아서는 더욱 되지 않는 것이다.

    그냥 그 정당의 하수인이 되어 거수기 정도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기회에 국회의원의 명칭도 구별하면 좋겠다.

    국민이 직접 선거를 통해 뽑은 국회의원은 그냥 ‘국회의원’으로 부르고, 정당의 천거를 통해 국회에 들어가게 되면 ‘국회위원’이라고 말이다.

    ‘국회의원’과 ‘국회위원’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그것은 글쎄....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