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속초17.8℃
  • 비17.0℃
  • 흐림철원15.8℃
  • 흐림동두천15.1℃
  • 흐림파주14.5℃
  • 흐림대관령15.1℃
  • 구름많음춘천16.7℃
  • 비백령도13.2℃
  • 흐림북강릉20.1℃
  • 흐림강릉19.6℃
  • 흐림동해17.5℃
  • 흐림서울16.8℃
  • 비인천17.2℃
  • 흐림원주18.8℃
  • 구름많음울릉도18.4℃
  • 흐림수원16.0℃
  • 흐림영월13.4℃
  • 흐림충주16.1℃
  • 흐림서산18.7℃
  • 흐림울진18.1℃
  • 비청주18.6℃
  • 흐림대전17.4℃
  • 흐림추풍령18.1℃
  • 비안동15.5℃
  • 흐림상주17.7℃
  • 흐림포항18.3℃
  • 흐림군산19.9℃
  • 흐림대구20.3℃
  • 흐림전주20.8℃
  • 박무울산17.5℃
  • 흐림창원18.5℃
  • 비광주19.5℃
  • 흐림부산19.3℃
  • 흐림통영17.6℃
  • 비목포18.6℃
  • 비여수16.8℃
  • 비흑산도16.6℃
  • 흐림완도18.5℃
  • 흐림고창18.7℃
  • 흐림순천16.9℃
  • 박무홍성(예)17.0℃
  • 흐림15.7℃
  • 비제주20.7℃
  • 흐림고산18.9℃
  • 흐림성산19.0℃
  • 비서귀포19.3℃
  • 흐림진주16.6℃
  • 흐림강화15.4℃
  • 흐림양평16.8℃
  • 흐림이천17.1℃
  • 흐림인제14.9℃
  • 흐림홍천15.9℃
  • 구름많음태백16.4℃
  • 흐림정선군12.3℃
  • 흐림제천14.1℃
  • 흐림보은15.5℃
  • 흐림천안16.5℃
  • 흐림보령20.3℃
  • 흐림부여17.9℃
  • 흐림금산18.6℃
  • 흐림17.1℃
  • 흐림부안20.1℃
  • 흐림임실17.9℃
  • 흐림정읍20.4℃
  • 흐림남원18.6℃
  • 흐림장수16.8℃
  • 흐림고창군19.7℃
  • 흐림영광군18.6℃
  • 흐림김해시19.0℃
  • 흐림순창군19.2℃
  • 흐림북창원20.5℃
  • 흐림양산시18.5℃
  • 흐림보성군18.1℃
  • 흐림강진군19.1℃
  • 흐림장흥18.1℃
  • 흐림해남18.9℃
  • 흐림고흥18.6℃
  • 흐림의령군17.3℃
  • 흐림함양군17.1℃
  • 흐림광양시17.0℃
  • 흐림진도군19.1℃
  • 흐림봉화12.7℃
  • 흐림영주14.6℃
  • 흐림문경17.1℃
  • 흐림청송군12.7℃
  • 흐림영덕15.5℃
  • 흐림의성16.9℃
  • 흐림구미19.1℃
  • 흐림영천16.7℃
  • 흐림경주시16.8℃
  • 흐림거창16.2℃
  • 흐림합천16.4℃
  • 흐림밀양17.8℃
  • 흐림산청16.2℃
  • 흐림거제20.5℃
  • 흐림남해17.4℃
  • 흐림18.8℃
기상청 제공
공정(公正)의 감각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설/칼럼

공정(公正)의 감각

정약용은 정치의 의미를 심각하게 고민한 적이 있다. 

정치의 근원을 따져 묻는 「원정(原政)」은 이런 반성의 결과다. 

“정치란 바르게 한다[正]는 말이다. 똑같은 우리 백성인데 누구는 토지의 이로움을 두루 겸해서 부유한 생활을 하고, 누구는 토지의 이로움을 받지 못해 가난하게 사는가? (...) 똑같은 우리 백성인데 누구는 강대한 세력을 제멋대로 휘둘러 비대해지고, 누구는 취약한 상황에서 더 빼앗겨 사라지고 마는가?” 

차승현 작가_정장.jpg
차승현 작가

 

다산은 ‘똑같은 우리 백성’[均吾民也]이라고 말한다. 

어떤 이는 평생 선하지 않아도 멀쩡하게 잘 살고, 어떤 이는 평생 정직하고 선하게 살아도 제대로 복을 받지 못하니 상선벌악(賞善罰惡)이 불공정함을 되짚기도 한다. 

「원정」은 치우친 붕당을 없애고 공도(公道)를 넓혀 현명하고 능력 있는 자를 우대하는 정치로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마무리한다. 

정약용이 말한 공도는 정치의 공정한 길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공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다산은 토지제도를 말할 때 균전(均田), 균산(均産)의 의미를 비판했다. 

농사짓는 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토지를 운영하게 해야지, 국가가 일일이 민의 살림을 똑같이 챙길 수 없다는 말이다. 

“먼저 백성의 살림을 엿보고 부유한 자의 것을 덜어내서 가난한 자에게 보태고자 하니 이것은 이롭지 않은 헛된 일이다.”[先窺下民之產業, 欲損富而益貧者, 是無益之虛務也.] 

백성이 자신의 직업을 갖고 능력에 따라 자립하게 해야지, 처음부터 국가가 일률적으로 균전・균산을 추구할 수는 없다고 본 것이다. 

아마도 각자의 분수, 각자의 능력에 맞게 차등적으로 대우하는 것이 유학자들이 생각한 공정의 의미였을 것이다. 


20세기 초 국권을 빼앗기고 해방 후에는 강대국의 냉전 갈등, 분단체제에서 삶과 사유의 위기, 가치의 급변을 경험했다. 

과거의 나와 오늘의 나는 삶의 균질적 흐름이 끊어진 현장들을 목격한다. 

좋든 싫든 이것은 우리가 가진 고유한 경험의 자산이다. 

균질적 평등주의를 비판하면서도 다른 한편 엘리트적 위계, 능력주의 횡포를 거부하는 감정도 공존한다. 

내 삶의 충족이 타인의 삶의 충족과 함께 가야 한다는 신념도 사라지지 않았다. 

타인과 함께 하는 공공(公共)의 삶, 세상의 주인공으로 내가 가진 공정(公正)의 감각, 양자는 서로를 필요로 한다. 

다수의 사람이 좋다고 해서 나에게도 반드시 공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가진 공정의 상식이 내가 아닌 타인에게도 이로운 길인지 반문할 필요가 있다. 

공유할 수 없는 생각을 하는 타인이 많은 이곳, 우리 사회는 내 공정의 감각을 시험할 좋은 잣대가 될 것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